[신 영웅전] 에이브러햄 링컨
아마도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은 역사가 자기를 잘못 평가하고 있다고 구천에서 투덜거릴 것이다. 링컨이라면 노예 해방부터 떠올리지만, 역사의 평가는 다르다. 노예 해방의 가치를 인정하지만, 역사가들은 그가 전쟁이 끝난 뒤 적의(敵意)에 가까운 남북을 통합해 대제국을 건설한 ‘건국의 중부(仲父)’라는 데 더 큰 의미를 둔다. 켄터키의 촌뜨기로 태어난 링컨은 일리노이 주 스프링필드에 정착해 겨우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지만, 인자한 계모의 사랑을 받으며 성실하게 공부했다. 역사상 처음 고졸 출신으로 대통령 자리에까지 올랐으나 상류 사회의 푸대접을 많이 받았다. 광대뼈가 튀어나오고 볼이 움푹 팬 링컨은 추남이었다. 대선에 출마하자 선전 포스터를 찍으려던 사진사가 그 얼굴을 보고 절망했다. 그때 베델이라는 소녀가 편지로 “아저씨는 수염을 기르면 못생긴 얼굴을 좀 가릴 것 같다”고 아이디어를 줬다. 듣고 보니 그럴듯해 그때부터 수염을 기르니 ‘송장 같던 얼굴’이 우아하게 보였다. 물론 수염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그 덕을 톡톡히 봤는지 대통령에 당선됐다. 링컨 때부터 미국 대통령은 수염을 기르는 것이 관례가 됐다. 남북전쟁이 끝날 무렵이던 1863년 11월 19일 그는 격전지 게티즈버그에서 전몰장병 추모 연설을 했다. 본디 연사는 하버드대 총장 에드워드 에버렛이었다. 그는 2시간에 걸쳐 사자처럼 열변을 토했다. 주최 측에서 오신 김에 한 말씀 해달라는 부탁이 있어 링컨은 쪽지에 몇 마디 적어뒀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다. 대신 그 전 일요일 교회에서 들은 목사님 설교가 머리에 떠올라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끝맺고 내려왔다. 267단어다. 연설이 너무 짧아 마그네슘 플래시를 장착하던 사진사가 꾸물거리다가 사진 찍을 여유도 없었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 노예 해방 대통령 자리